본문 바로가기
천문학관련 지식

블랙홀의 탄생의 원리

by tycheBMJ 2020. 2. 19.

블랙홀은 항성이 진화의 끝에서 죽음을 맞이할때 폭발되는 에너지가 수축되어 태어난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항성이 폭발될때의 엄청난 에너지와 물질들이 모두 수축되어 있기 때문에 블랙홀은 엄청난 밀도와 중력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입자나 밫을 포함한 그 무엇도 한번 블랙홀에 흡수되면 빠져나올 수 없는 공간입니다. 이미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으로 충분히 밀집된 질량과 에너지는 시공간을 뒤틀어 블랙홀을 형성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습니다. 상대성 이론에 의하면 블랙홀로부터의 탈출이 불가능해지는 경계를 사건의 지평선이라고 정의하는데 어떤 물체가 사건의 지평선의 경계를 넘어갈 경우 그 물체에게는 엄청난 중력에 의한 과부하가 가해지겠지만, 우리들이 관측할때에는 점점 물체의 속도가 점점 느려져 영원히 닿지 않는 멈춰진 공간으로 관측이 됩니다. 이러한 중력장이 너무 강해서 빛이 탈출할 수 없는 천체의 개념은 18세기에 라플라스 후작과 존 미첼이 처음 가설을 세웠으며, 블랙홀로 정의하기 위한 일반상대론의 최초의 근대적 해를 1916년 슈바르츠실트가 발견하게 됩니다. 다만 사건의 지평선은 아무것도 탈출할 수 없는 공간상의 영역이라고 정확하게 정의한것은 1958년 데이비드의 논문에서 처음 발표되었습니다. 이렇게 블랙홀은 오랫동안 수학적으로 설명되어 왔습니다. 더 나아가 1960년대에는 블랙홀이 일반상대론에서 유도됨을 증명하는 연구들이 행해졌는데 이 연구들을 통해서 발견된 중성자별은 중력붕괴한 밀집성이 천체물리학적 실체로서 존재할 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폭발적으로 증가시켰습니다. 정리해서 말하자면 블랙홀은 매우 질량이 큰 항성이 수명이 다했을 때 붕괴하여 만들어지는 에너지와 잘량들이 수축되어 만들어지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이렇게 만들어진 블랙홀은 형성된 뒤에도 주위의 질량을 흡수하여 추가적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즉 다른 항성을 흡수하거나 블랙홀들끼리 융합하면서 초대질량 블랙홀으로 성장할수도 있으며 현존하는 대부분의 은하은 초대질량 블랙홀의 중력으로 구성되어 있다는것이 일반적인 견해입니다. 블랙홀이 흡수라면은 반대 역활인 무언가도 있을것이고 그것을 사람들은 화이트홀이라는 명칭을 현재 부르고 있습니다. 사실 블랙홀은 우주의 청소기 역활로 균형을 하는것일지도 모릅니다. 우주는 끝없이 팽장하고 있다는 가설이 거의 정설로 받아지고 있기 때문에 무한하게 커지는 공간은 아마도 한계가 있을것이고 그러한 한계로 인해서 우주가 못버티고 망가지는것을 막는 역활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할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시나요? 과연 블랙홀이라는 아직 우리가 알수 없는 개념에 대해서 흥미가 느껴지시지 않으신가요?

댓글